백제는 기원전 18년 ~ 기원후 660년까지 존재했던 고대국가입니다.
2015년 7월 공주의 공산성과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을 비롯한 부여·익산의 백제유적 8곳이 ‘백제역사 유적지구’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중국과의 교류를 기초로 백제의 독창적인 문화를 이룩하고, 이를 일본 등 주변국가에 전하여 고대 동아시아 문화번영에 기여한 점이 높게 평가되어 세계인의 유산이 된 것입니다.
특히 공주 공산성은 백제 웅진도읍기(475~538년)의 왕성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 받았습니다. 성벽 축조에 사용된 판축기법(고운흙과 모래흙을 번갈아 다져서 쌓는 방법)과 벽주건물지 (도랑을 파 기둥을 촘촘하게 세운 후 고운흙으로 벽을 발라 만든 건물지)는 고대 중국 및 일본과의 문화교류를 통한 백제 토목건축 기술의 발전과 전파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공산성 공산성에 대해 알고계신가요? 백제 웅진시대(475~538) 왕성 공산성 백제는 475년 고구려의 침략으로 백제는 수도를 한성(서울)에서 웅진(공주)으로 옮기게 됩니다. 금강과 공산의 산세를 활용하여 왕성으로서 64년 웅진시대의 중심이었습니다. 갱위강국 – 다시 강국이되다 백제시대이후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름으로 바뀌며 오랜시간 지역의 거점으로 자리하였습니다. 백제(웅진성)-통일신라(웅천성)-고려(공산성)-조선(쌍수산성) 그렇다면 오늘날에는 어떠할까요? 수문병 교대식 - 왕성을 호위했었던 수문병의 근무를 재현하는 수문병 교대식, 백제 동성왕의 후예가 되어보는 동성왕 활쏘기 체험, 밤이 되면 성벽에서 펼쳐지는 화려한 영상쇼 대한민국 대표적인 백제문화제도 공산서엥서 즐기실 수 있습니다. 세계인의 유산 공산성은 1500여년의 시간을 지나 오늘날에도 우리 곁에 함께하고 있습니다. 흥미진진 공주
공주의 옛이름은 ‘고마나루’라고 하며, 한자로 웅진(熊津)이라 합니다. 웅진은 백제의 도읍 한성(서울)이 고구려에 의해 함락되면서 새로운 도읍이 되었습니다. 웅진도읍기(475~538년) 백제의 왕성은 웅진성이며, 지금의 공산성입니다.
사적 제12호로 지정된 공산성은 북쪽에 흐르는 금강과 급경사를 이루는 공산(公山)의 산세를 활용하여 축조된 천연의 요새입니다. 성벽은 흙으로 쌓은 토성과 돌로 쌓은 석성이 있는데, 동쪽구역의 토성 구간을 제외하면 대부분 석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980년대부터 실시된 발굴조사를 통해 백제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친 다양한 유적이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백제시대에는 왕궁을 비롯한 주요시설 들이 배치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성벽, 연못, 나무창고, 저장구덩이 등이 확인되었습니다. 유물은 토기, 기와, 중국제 자기, 무기, 목기 등이 출토되었는데 특히 ‘정관19년(645)’명문이 쓰인 화려한 옻칠갑옷이 출토되어 주목되었습니다.
공산성은 백제가 사비(부여)로 천도한 이후에는 5방성 가운데 북방성이었고, 무왕31년(630) 사비의 궁궐을 수리할 때에는 왕이 공산성으로 거 처를 옮기기도 하였습니다. 아울러 660년 7월에는 의자왕이 사비에서 공산성으로 피신해 와 나당연합군과 대치하다 항복하기도 하였습니다. 백제 멸망 이후 통일신라시대에는 웅천주의 치소로, 조선시대에는 충청감영과 중군영이 자리하는 등, 오랫동안 지방의 거점이자 방어성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하였습니다.
공산성 성벽의 전체 길이는 2,660m로 토성으로 알려진 동쪽구간 735m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석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성벽은 조선시대 이후에 고쳐 쌓은 것입니다.
백제시대의 공산성은 지형에 따라 토성과 석성으로 축조되었으며, 이는 공산성 동쪽 구역과 조선시대 석성 아래에서 확인되었습니다. 동쪽구간은 전체가 토성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조사를 통하여 토성과 석성이 함께 축조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토성은 고운흙과 모래흙을 번갈아 다져서 쌓는 판축기법을 주로 이용하여 조성하였습니다. 석성은 골짜기쪽은 내외벽 모두 돌을 쌓아 만들고, 경사면은 돌로 외벽을 쌓고 내벽은 외벽 의 돌과 맞물리도록 돌을 보강한 후 흙을 쌓아 축조하였습니다.
공산성 내 서쪽 정상부의 ‘쌍수정’ 앞 평탄지에 자리합니다. 이곳에서는 공주시가지와 백제왕릉군인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이 한눈에 바라다 보입니다. 조사를 통해 벽주건물지(도랑을 파 기둥을 촘촘하게 세운 후 점토로 벽을 발라서 만든 건물지)와 굴립주건물지(기둥의 밑동을 땅 속에 박아 세운 건물지) 를 비롯하여 연못, 나무창고와 같은 저장시설 등이 확인되었습니다.
출토유물로는 지붕 처마끝을 장식한 수막새, 청동거울, 금동제 향합, 토지등이 있는데, 특히 연꽃무늬 수막새의 존재를 통해 품격이 높은 건물이자리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공산성 서북쪽으로 금강에 연한 넓은 대지에 자리하며, 왕궁과 관련된 다양한 건물들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집니다. 골짜기인 지형을 대규모 토목 공사로 평탄하게 만든 후, 남북과 동서방향으로 구획된 도로를 중심으로 축대를 쌓아 계단식의 대지를 만들고, 규칙적으로 건물을 배치하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조사를 통해 약 80여동의 건물지를 비롯하여 도로, 배수로, 저수시설, 연못, 나무창고 등이 확인되었습니다.
저수시설에서는 옻칠갑옷과 말갑옷, 장식칼, 큰칼, 중국제자기, 목기, 쌀, 조개, 밥 등 백제시대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특히 옻칠갑옷은 가죽에 10여 차례 이상 두껍게 옻칠을 한 것으로, 붉은색으로 ‘貞觀十九年(정관십구년)’ (645년. 의자왕 5년)을 비롯한 명문이 확인되어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큽니다.
공산성에는 위와 같은 백제시대의 유산 외에도 4방의 문터, 암문, 고대 등 방어시설과 쌍수정, 영은사, 연못, 중군영지, 28칸 건물지 등 통일신라 시대에서 조선시대에 걸친 많은 문화유산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공산성의 이름 또한 백제시대에는 웅진성, 고마성, 통일신라시대에는 웅천성, 고려시대에는 공주산성, 공산성, 조선시대에는 쌍수산성으로 변화되었습니다. 이처럼 백제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친 다양한 이름과 문화유산의 존재는 공산성이 오랜시간 지역 거점으로서 역동적으로 기능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구분 | 내용 | 비고 |
---|---|---|
운영시간 | 하절기(3월~10월) 9:00~18:00(종료 30분전까지 입장) 동절기(11월~2월) 9:00~17:00(종료 30분전까지 입장) |
1월 1일, 설, 추석 당일 휴관 |
입장료 |
|
|
주차비용 | 무료 | |
문화유산해설 | 09:00 - 16:00 (매시간 정시 해설) | 단체사전예약 : 010-5024-2421 |
이용문의 | 관광안내소 : 041-856-7700 |
통합권은 3곳을 관람할 수 있는 입장권으로 처음 관람하는 곳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구분 | 어른 (19세-64세) |
청소년 (중,고생 및 군인) |
어린이 (초등학생) |
|||
---|---|---|---|---|---|---|
개인 | 단체 | 개인 | 단체 | 개인 | 단체 | |
통합권 | 6,000 | 5,000 | 4,000 | 3,000 | 2,000 | 1,000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3,000 | 2,500 | 2,000 | 1,500 | 1,000 | 500 |
공산성 | 3,000 | 2,500 | 2,000 | 1,500 | 1,000 | 500 |
석장리박물관 | 3,000 | 2,500 | 2,000 | 1,500 | 1,000 | 500 |